Tech

Python3.6 부터는 Dict가 순서를 기억한다.

2021. 08. 26

안녕하세요. 화해팀에서 백엔드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홍석준입니다.  Python3.6

 

화해 개발팀에서는 개인 기술 블로그를 만들고 싶은 욕구는 있지만 혼자서는 용기가 나지 않던 구성원들이 모여 ‘한 달에 한 번 글을 다 완성할 때까지는 집에 가지 말자’라는 슬로건을 걸고 닥블(닥치고 블로그)이라는 소모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닥블 활동으로 화해팀의 백엔드 플랫폼에서 사용 중인 Python 딕셔너리에 대해 새로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해보았는데, 이를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딕셔너리는 사전이라는 의미가 있는 단어로 Python에서는 사전형 데이터를 담는 자료형을 뜻합니다.

 

사전형 데이터란 다른 말로 연관 배열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연관 배열은 키 하나와 값 하나가 연관되어 키를 통해 연관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국어사전에서 원하는 단어를 찾아 그에 연관된 단어의 뜻을 찾아보는 것을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한 대로 딕셔너리는 하나의 키와 하나의 값을 가지며 {key: value} 형식으로 저장됩니다.

 


# 딕셔너리 예시
people = {'name': '홍길동', 'age': 20}

people['name']
> '홍길동'
people['age']
> 20

 

키는 해싱이 가능한 값으로 해싱된 키를 이용해 값과 매핑하여 연관된 값을 저장하거나 얻어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스트, 딕셔너리와 같이 mutable 한 객체는 해싱 불가능하여 딕셔너리의 키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리스트나 튜플처럼 순차적으로 값에 접근하는 것과 달리 딕셔너리는 해싱 된 키를 통해 바로 값에 접근 가능하므로 입력된 순서를 저장할 필요성이 없었으며 실제로 Python3.5까지는 딕셔너리의 입력 순서를 저장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Python3.6부터는 딕셔너리를 구현하는 내부 구조의 변경으로 인해 입력 순서를 저장하게 됩니다.

 

 

 

우선 아래의 예시를 통해 Python3.5와 Python3.6에서 딕셔너리가 입력된 순서를 어떻게 저장하는지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 [Python3.5] 입력된 순서가 보장되지 않음.
>>> dict_3_5 = {}
>>> dict_3_5['a'] = 1
>>> dict_3_5['b'] = 2
>>> dict_3_5['c'] = 3

>>> dict_3_5
{'b': 2, 'a': 1, 'c': 3}

# [Python3.6] 입력된 순서가 보장됨.
>>> dict_3_6 = {}
>>> dict_3_6['a'] = 1
>>> dict_3_6['b'] = 2
>>> dict_3_6['c'] = 3
>>> dict_3_6
{'a': 1, 'b': 2, 'c': 3}

 

살펴본 바와 같이 Python3.6에서 딕셔너리가 어떻게 순서를 저장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Python3.6 이전과 이후의 딕셔너리 내부 구조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people = {
  'firstname': '길동',
  'lastname': '홍',
  'job': '개발자'
}

 

위처럼 people이라는 딕셔너리 객체(엔트리)가 있을 때, Python3.6 이전과 이후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Python3.6_이전딕셔너리구조

Python3.6 이전의 딕셔너리 구조

 

 

 

Python3.6 이전에는 dk_size(해시테이블의 크기로 여기서는 8이다) 만큼의 entries라는 해시 테이블을 생성하고 해싱 된 key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 위치로 엔트리가 저장됩니다. 따라서 hash('firstname') % 8을 통해 바로 엔트리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Python3.6_이후딕셔너리구조

 

Python3.6 이후의 딕셔너리 구조

 

 

반면 Python3.6 이후부터는 dk_size 크기의 indices라는 해시 테이블이 등장하게 됩니다. 이 테이블은 해싱 된 key 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0부터 시작되는 순서를 저장하게 되며, 이 순서대로 entires라는 배열에 엔트리를 삽입하는 구조로 변경되었습니다. 즉, 순서를 저장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hash('firstname') % 8의 결괏값을 가지고 indices에서 entries에 접근할 수 있는 인덱스를 얻은 뒤 entries[0]으로 접근 가능합니다.

 

참고로 Python 3.6에서부터 순서가 생기는 구조로 변경이 된 것 같은데, Python의 레퍼런스 문서에서는 Python 3.7부터 지원한다고 쓰여있는 걸 보니 3.7부터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것 같습니다.

 

 

 

Python3.6 버전으로 오면서 딕셔너리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배열이 하나에서 두 개로 늘어났는데 메모리가 줄었다고 하면 의문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해시 테이블로 사용하는 희소 배열의 타입을 바꿔 빈 공간에 대한 메모리를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Python3.6 이전 버전에서는 dk_size 만큼의 PyDictKeyEntry 타입의 entries 해시 테이블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배열의 빈 공간마저 PyDictKeyEntry 만큼의 메모리를 차지하여 낭비하는 부분이 컸습니다. 그러나 변경된 Python3.6 이후 버전에서는 사이즈가 dk_sizechar타입의 indices라는 해시 테이블과 PyDictKeyEntry를 담는 entries[0]는 필요할 때마다 할당되어 Python3.6 이전 버전보다는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Python3.6_이전딕셔너리구조

Python3.6 이전의 딕셔너리 구조

Python3.6_이후딕셔너리구조

Python3.6 이후의 딕셔너리 구조

 

 

위의 people 딕셔너리 객체를 가지고 계산을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Python3.6 이전 버전의 경우 8(dk_size) * 8 * 3로 192 Bytes를 차지하게 되지만 Python3.6 이후 버전의 경우에는 8(dk_size) * 1 + (8 * 3 * 3)로 80 Bytes를 차지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사실 Python은 3.6버전 이전부터 입력된 순서를 보장하는 특수한 딕셔너리 자료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OrderedDict입니다.

 

OrderedDict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순서를 보장하는 딕셔너리로 아래 예제를 통해 순서가 보장된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입력된 순서가 보장되는 OrderedDict
>>> odered_dict = OrderedDict()
>>> odered_dict['a'] = 1
>>> odered_dict['b'] = 2
>>> odered_dict['c'] = 3

>>> odered_dict
OrderedDict([('a', 1), ('b', 2), ('c', 3)])

 

Python 3.6 이후부터는 기존 딕셔너리도 입력된 순서를 가지게 되어 OrderedDict와 크게 차이점이 없다고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등성을 확인할 때 OrderedDict는 순서까지도 동등한지를 확인해 더 엄격하게 동등성을 검증합니다.

 

입력 순서는 다르지만 내용이 같은 경우에 서로 비교하는 예시를 아래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기본 딕셔너리
>>> dict_a
{'a': 'apple', 'b': 'banana', 'p': 'pineapple'}
>>> dict_b
{'b': 'banana', 'a': 'apple', 'p': 'pineapple'}

>>> dict_a == dict_b
True

# OrderedDict
>>> ordered_a
OrderedDict([('a', 'apple'), ('b', 'banana'), ('p', 'pineapple')])
>>> ordered_b
OrderedDict([('b', 'banana'), ('a', 'apple'), ('p', 'pineapple')])

>>> ordered_a == ordered_b
False

 

따라서 데이터의 입력 순서가 아주 중요한 상황이나 하위 호환성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OrderedDict를 사용하여 순서를 보장하는 것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딕셔너리와 OrderedDict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고 Python 3.5와 3.6에서 딕셔너리에 구현된 구조,  입력 순서가 저장되는 이유까지 알아봤습니다. Python 3.6 이후부터 딕셔너리에 순서가 생기기는 했지만, OrderedDict 부분에서 살펴본 대로 동등성을 비교하는 부분이 다르고 하위 호환을 고려한다면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 사이트

https://docs.python.org/ko/3/library/stdtypes.html#dict

https://docs.python.org/3/library/collections.html#collections.OrderedDict

https://github.com/zpoint/CPython-Internals/blob/master/BasicObject/dict/dict.md

 

[출처] Python 3.6부터는 Dict가 순서를 기억한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화해 프론트엔드 플랫폼의 다른 글도 확인해보세요!

화해의 Data Warehouse를 소개합니다

함께 성장하는 화해 개발팀

 

 

 

 

  • Dict
  • 딕셔너리
  • Python
  • OrderedDict
  • 백엔드
avatar image

홍석준 | Software Engineer

커머스 도메인 영역의 백엔드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연관 아티클